인텔리가 '되고 싶은' 인텔리재이

[JSP + MyBatis] 5. 게시글 작성하기 (insert) 본문

✨LEVEL UP🎇/PROJECT

[JSP + MyBatis] 5. 게시글 작성하기 (insert)

인텔리재이 2023. 2. 7. 17:40

이번 포스팅에서는 게시판 CRUD 중에서, 게시글 작성을 구현해보도록 하겠습니다!

 

화면 만들기

먼저, 게시글 작성에 필요한 화면을 만듭니다.

이전 포스팅에서 소개해드린 부트스트랩(Bootstrap)을 적용하여 간단히 화면을 구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😀

 

저는 src > main > webapp > WEB-INF > views > board 폴더를 생성하고,

폴더 안에 insert.jsp를 생성 및 작성하였습니다.

 

insert.jsp

  • 작성 버튼을 눌렀을때 form action인 /insertProc가 실행되며 데이터가 POST 형식으로 전달됩니다.
  • 작성 완료시 리스트 화면으로 돌아가며, 작성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<%@ page language="java" contentType="text/html; charset=UTF-8"
	pageEncoding="UTF-8"%>
<!DOCTYPE html PUBLIC "-//W3C//DTD HTML 4.01 Transitional//EN" "http://www.w3.org/TR/html4/loose.dtd">
<%@ include file="../include/style.jsp"%>
<html>
<head>
<meta http-equiv="Content-Type" content="text/html; charset=UTF-8">
<title>Insert Page</title>
</head>
<body>
	<jsp:include page="../include/header.jsp"></jsp:include>
	<h2 style="text-align: center">게시글 작성</h2>

	<div class="container">
		<form action="/insertProc" method="post" style="gap: 1rem">
			<div class="form-group">
				<label for="subject">제목</label> <input type="text"
					class="form-control" id="subject" name="subject"
					placeholder="제목을 입력하세요.">
			</div>
			<div class="form-group">
				<label for="writer">작성자</label> <input type="text"
					class="form-control" id="writer" name="writer"
					placeholder="내용을 입력하세요.">
			</div>
			<div class="form-group">
				<label for=content">내용</label>
				<textarea class="form-control" id="content" name="content" rows="3" style="margin-bottom : 20px"></textarea>
			</div>
			<button type="submit" class="btn btn-primary">작성</button>
		</form>
		<jsp:include page="../include/footer.jsp"></jsp:include>
	</div>
</body>
</html>

 

이전 게시물에서 생성한 Board 테이블 중 제목, 내용, 작성자명 항목을 화면에서 입력하고, DB에 저장할 예정입니다.

CREATE TABLE BOARD (
bno INT NOT NULL AUTO_INCREMENT, // 게시물 번호
subject VARCHAR(100) , // 제목
content VARCHAR(100), // 내용
writer VARCHAR(100) , // 작성자명
reg_date DATE , // 작성일자
PRIMARY KEY (bno));

프로젝트를 실행하고,  주소창에 localhost:포트번호/insert로 접속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출력됩니다.😮

 

DB에 데이터 insert 해보기

본격적으로 DB에 데이터를 insert하기 위해, controller, domain, mapper, service에 코드를 추가하도록 하겠습니다.

src > main > java > com.example.demo 해당 경로에 

controller, domain, mapper, service 패키지가 생성되어있는지 확인 후, 코드를 작성합니다.

1. domain > BoardVO.java

  • VO(Value Object)값을 위해 쓰이는 객체입니다.
  • read-Only 특징(사용하는 도중에 변경 불가능하며 오직 읽기만 가능)을 가집니다.

   저는 DB에 생성한 Board 테이블의 항목과 동일하게 VO를 작성하였습니다. 

package com.example.demo.domain;

import java.util.Date;

public class BoardVO {
	private int bno;
	private String subject;
	private String content;
	private String writer;
	private Date reg_date;
	
	public int getBno() {
		return bno;
	}
	public void setBno(int bno) {
		this.bno = bno;
	}
	public String getSubject() {
		return subject;
	}
	public void setSubject(String subject) {
		this.subject = subject;
	}
	public String getContent() {
		return content;
	}
	public void setContent(String content) {
		this.content = content;
	}
	public String getWriter() {
		return writer;
	}
	public void setWriter(String writer) {
		this.writer = writer;
	}
	public Date getReg_date() {
		return reg_date;
	}
	public void setReg_date(Date reg_date) {
		this.reg_date = reg_date;
	}
}

 

2. controller > BoardController.java

  • controller는 화면으로부터 데이터를 받아 VO에 담고, 이를 service로 값을 전달해주는 역할을 담당합니다.
  • 이를 위해 service와의 의존성을 주입해주었습니다.
  • 게시물 작성 화면을 호출하는 메소드와 게시물 작성 기능을 실제로 담당하는 메소드를 구분하여 작성합니다.
package com.example.demo.controller;

import javax.annotation.Resource;
import javax.servlet.http.HttpServletRequest;

import org.springframework.stereotype.Controller;
import org.springframework.ui.Model;
import org.springframework.web.bind.annotation.PathVariable;
import org.springframework.web.bind.annotation.RequestMapping;

import com.example.demo.domain.BoardVO;
import com.example.demo.service.BoardService;

@Controller // 컨트롤러 빈으로 등록
public class BoardController {

	@Resource(name = "com.example.demo.service.BoardService") // Service 의존성 주입
	BoardService mBoardService;
    
        @RequestMapping("/insert") // 게시글 작성폼 호출
        private String boardInsertForm() {

            return "board/insert";
        }

        @RequestMapping("/insertProc") // 게시글 작성 기능 동작
        private String boardInsertProc(HttpServletRequest request) throws Exception {

            BoardVO board = new BoardVO();

            board.setSubject(request.getParameter("subject"));
            board.setContent(request.getParameter("content"));
            board.setWriter(request.getParameter("writer"));

            mBoardService.boardInsertService(board);

            return "redirect:/list";
        }
}

 

3. service > BoardService.java

  • Service는 Controller로부터 데이터를 받고, 이를 Mapper로 전달해주는 역할을 담당합니다.
  • 이를 위해 Mapper와의 의존성을 주입해주었습니다.
  • int 형이므로, 글이 작성되면 Mapper로부터 1을 전달받고, 작성되지 않았을때는 0이 전달됩니다.
package com.example.demo.service;

import java.util.List;

import javax.annotation.Resource;

import org.springframework.stereotype.Service;

import com.example.demo.domain.BoardVO;
import com.example.demo.mapper.BoardMapper;

@Service("com.example.demo.service.BoardService")
public class BoardService {
	
	// Mapper 의존성 주입
	@Resource(name = "com.example.demo.mapper.BoardMapper")

	BoardMapper mBoardMapper;
    
    // 게시물 작성
	public int boardInsertService(BoardVO board) throws Exception {

		return mBoardMapper.boardInsert(board);
	}
}

 

4. mapper > BoardMapper.java

  • Mapper 인터페이스는 Service로부터 데이터를 받고, 직접 DB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처리합니다.
  • Mapper.xml 에 작성된 SQL 쿼리문을 자바 인터페이스를 통해 호출하여 처리합니다.
  • int 형이므로, 글이 작성되면 DB로부터 1을 전달받고, 작성되지 않았을때는 0이 전달됩니다.
package com.example.demo.mapper;

import java.util.List;

import org.springframework.stereotype.Repository;

import com.example.demo.domain.BoardVO;

//DB에 접근하는 클래스
@Repository("com.example.demo.mapper.BoardMapper")
public interface BoardMapper {

	// 게시글 작성
	public int boardInsert(BoardVO board) throws Exception;

}

 

5. mapper > BoardMapper.xml

  • 이곳에 작성된 SQL 쿼리문을 자바 인터페이스를 통해 호출하여 DB에 반영합니다.
  • id는 mapper에서 설정한 이름과 동일하게 작성합니다.
  • parameterType은 전달받는 데이터의 형식을 의미합니다. 저는 BoardVO로 작성하였습니다.
  • 게시물번호, 제목, 내용, 작성자명, 작성일자를 insert하고, 작성일자는 현재 날짜/시간의 now()로 작성하였습니다.
<?xml version="1.0" encoding="UTF-8"?>
<!DOCTYPE mapper 
PUBLIC "-//mybatis.org//DTD Mapper 3.0//EN"
"http://mybatis.org/dtd/mybatis-3-mapper.dtd" >

<mapper namespace="com.example.demo.mapper.BoardMapper">

	<insert
		id="boardInsert"
		parameterType="com.example.demo.domain.BoardVO"
	>
		INSERT INTO
		BOARD (BNO,SUBJECT,CONTENT,WRITER,REG_DATE)
		VALUES(#{bno},#{subject},#{content},#{writer},now())
	</insert>
    
</mapper>

 

코드 작성 후, 잘 동작하는지 확인합니다.

리스트 화면 및 DB에 데이터가 잘 반영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! 🤗


🎊 드디어 CRUD 중 insert 기능을 완료했습니다! 🎉

다음 포스팅에서는 리스트 화면을 만들고, 호출해보도록 하겠습니다😉

Comments